규칙 참여자는 로또 번호를 총 6개 고른다. 당첨 번호는 총7개이다. 6개가 일반 당첨 번호이고, 1개는 보너스 번호이다. 당첨금액 규칙은 아래와 같다. 일반 당첨 번호 6개 모두 일치: 10억원 일반 당첨 번호 5개 일치 그리고 보너스 번호 1개 일치: 5천만원 일반 당첨 번호 5개 일치: 1백만원 일반 당첨 번호 4개 일치: 5만원 일반 당첨 번호 3개 일치: 5천원 필요 함수들 랜덤 로또 번호 추출 당첨 로또 번호 추출 랜덤 로또 번호와 당첨 로또 번호 중 일치하는 번호 개수 추출 당첨 금액 추출 랜덤 로또 번호 추출 함수 def generate_numbers(n): numbers = [] i = 0 while i < n: number = random.randint(1, 45) if number n..
삭제 list_example = [1, 3, 5, 7, 9, 11, 13] del list_example[0] print(list_example) ## [3, 5, 7, 9, 11, 13] del 리스트이름[인덱스] 를 사용하면 해당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할 수 있다. 마지막에 요소 삽입 list_example = [1, 3, 5, 7, 9, 11, 13] list_example.append(15) print(list_example) ## [1, 3, 5, 7, 9, 11, 13, 15] .append(값)를 이용해 마지막에 요소를 삽입할 수 있다. 그렇다면 중간에 넣고 싶을 때는 어떤 함수를 사용할까? 중간에 요소 삽입 list_example = [1, 3, 5, 7, 9, 11, 13] list..
옵셔널 파라미터란? 함수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주는 것이다. 예를들어 파라미터 값을 넘겨주면 넘겨준 값을 이용하고 넘겨주지 않으면 기본 값을 이용하는 것이다. def introduce(mom_name, dad_name, bro_count='0'): print('어머니의 이름은 {}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{}, 동생은 {}명입니다.'.format(mom_name, dad_name, bro_count)) introduce('홍길동', '유관순', 3) introduce('홍길동','유관순') # 어머니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유관순, 동생은 3명입니다. # 어머니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유관순, 동생은 0명입니다. 위와 같이 bro_count의 기본 값은 0이다.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..
포맷팅이란? 문자열에 특정한 값을 넣고 싶을 때 이용하는 함수이다. 포맷팅의 3가지 방법 가장 전통적인 방식 (%기호)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(format() 메소드) 새로운 방식 (f-string) 가장 전통적인 방식 (% 기호) name='홍길동' age=25 print('제 이름은 %s이고, 나이는 %d살 입니다.' %(name, age)) ## 제 이름은 홍길동이고, 나이는 25살 입니다. 이제는 잘 쓰이지 않는 가장 전통적이고 오래된 방식이다. 그렇다고 이 방식이 나쁜 것은 아니다. %s, %d 등을 사용한다.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(format() 메소드) name='홍길동' age=25 print('제 이름은 {}이고, 나이는 {}살 입니다.'.format(name, age))..